온라인뉴스레터
Newsletter
Book Review
2023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
Between the Streets and the Assembly:
Social Movements, Political Parties, and Democracy in Korea
Yoonkyung Lee (이윤경)
세부사업명
과제명
연구수행기관
연구기간
해외 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SUNY at Binghamt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inghamton
2011-09-01 ~ 2016-08-31 (60개월)
한국 사회를 안팎에서 보았을 때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정치 사회적 역동성이고, 그 역동성의 중심에 대중적 시위 문화와 광범위한 사회운동의 저력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2024년 12월은 이런 한국 정치의 역동성과 한국의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사회운동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명징하게 나타나고 있는 역사적인 시간이다.
이 연구서는 바로 이 지점, 한국 민주주의 형성과 발전에 사회운동과 정당 정치가 어떤 관계를 맺으며 어떤 역할을 해왔는가 라는 질문을 던지고, 이에 대한 정치 사회학적 답을 찾아가는 저서이다. 쉽게 말하면, 왜 한국의 민주주의는 집권 정치집단 또는 정당이 사고를 치고 이에 대해 사회운동이 저항과 대안을 조직하면서 발전해 왔는가를 질문한다. 이를 위해 1987년 민주화 이후 한국의 민주주의를 심화시키겠다는 의지를 갖고 세 갈래 다른 길을 선택한 주요 정치 그룹의 특성과 활동을 면밀하게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 세 그룹에는 사회운동단체와 사회운동가들, 기존 정당 (특히 민주당 계열 중도 정당)과 이들 정당으로 들어간 운동가 출신의 정치인들, 그리고 진보정당과 이에 참여한 운동가 겸 정치인들이 속한다.
이 연구는 정치는 조직화된 힘으로 작동하며, 어느 세력이 조직화를 위한 기반/하부구조(organizational infrastructure)를 성공적으로 형성하는가에 따라 그 영향력이 달라진다는 이론적 전제에서 시작한다. 이 전제에 맞춰, 한국 정치의 세 그룹이 가진 조직적 특성과 활동 방식을 비교하고, 이들 간 상호 관계를 분석하면서 결국 어느 그룹이 국민의 다양한 의사와 요구를 효과적으로 대변하고 이를 위한 강력한 집합 행동으로 이끌어냈는가를 추적한다.
결국 민주화 이후 지난 30여년 동안 한국의 사회운동 부분은, 기존 중도/보수 정당이나 신생 진보 정당에 비해, 전국적 연대 구축망 (national solidarity infrastructure)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전국적 시위를 조직하며 국가적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데에 성공적인 모습을 보였다. 수많은 고학력 전문가들과 헌신적인 활동가들이 사회운동 단체를 만들고 이끌었으며, 민주주의의 내용을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하고, 다양한 지역과 계층을 포괄하는 조직적 연대를 실천해 왔다. 이런 사회운동의 경험이 수십 년에 걸쳐 축적되는 과정에서 한국의 시민들은 참여형 시민 (participatory citizens), 즉 제도적 정치과정 보다는 집회나 시위와 같은 직접적 저항을 통해 정치적 효능감을 느끼는 정치 주체로 형성되어 왔다. 이에 반해, 민주당으로 대표되는 중도 정당과 이에 합류한 운동가 출신의 정치인들, 그리고 진보정당을 조직해서 광장과 의회의 거리를 좁히려고 시도한 진보정당의 활동가들은 전국적 연대를 만들지도, 국가적 대안을 제시하는 세력으로 성장하지도 못했다. 따라서 한국의 민주주의의 발전과 심화는 사회운동의 핵심적 기여 없이는 이해할 수 없는 사례에 속한다.
이 책은 한국 민주주의 과정에 대한 면밀한 연구를 통해 기존 서구 이론에서 민주주의 정치를 정당 정치 중심으로 접근하고, 사회운동을 부차적, 보완적, 단발성 역할로 보는 시각을 비판한다. 한국의 경험은 때로는 사회운동이 정당 정치보다 앞장서서 민주주의를 발전시킨 역사적 경로를 보여줌으로써 민주주의의 형성과 발전에 대한 새로운 이론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기존 사회운동 연구가 사회운동의 성격을 부분적, 지엽적, 한시적인 것으로 특징지운 반면, 한국의 사회운동은 전국적, 구조적, 항시적이라는 새로운 지평을 보여준다는 점을 강조한다.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은 이런 한국의 민주적 시민의 역량에 무지했기에 비상계엄이라는 헌법 질서 파괴 행위를 감행했을 것이다. 이에 대해 한국의 시민과 사회운동은 다시 한번 거리와 광장에서 행동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 민주주의를 만들고 발전시켜 온 것은 바로 자신들이라는 것을 또다시 증명하고 있다.
2023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Research Excellence Award
Between the Streets and the Assembly:
Social Movements, Political Parties, and Democracy in Korea
Yoonkyung Lee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Korean society, whether viewed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is most noted for its socio-political dynamism. At the heart of this dynamism is a culture of protest and the potential energy of widespread social movements. December 2024, when this is review is being written, is a historic time that explicitly shows the dynamism of Korean politics and the role of protest movements in protecting Korea’s democracy.
In this book, Yoonkyung Lee approaches the question of how and in what roles social movements and party politics relate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democracy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sociology. Put simply, the book asks how Korea’s democracy developed while civic groups organized resistance and alternatives in response to problems caused by the ruling powers or political party. To this end, Lee closel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activities of three main political groups that pursued different methods to carry out their aims of enhancing Korean democracy after the 1987 democratic transition. These three groups include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and social movement activists, the existing political parties (especially moderate parties along the lines of the Democratic Party) and the activist-turned-politicians who joined them, and the progressive parties and the activists and politicians who participated in them.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theoretical premise that politics operates via organizational strength, and political influence varies according to which power successfully forms an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 for mobilization. Based on this premise, Lee compares the three Korean political group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modes of praxis and analyzes their mutual relationship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ich group was able to articulate the diverse popular demands of the citizens and lead through powerful collective activity.
In conclusion, Lee finds that in the past three decades since democratization, Korea’s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have been more successful than existing moderate/conservative parties or the newly formed progressive parties in creating infrastructures for national solidarity. Numerous highly educated experts and dedicated activists created and led civic associations, put forward the democratic agendas through policy alternatives, and mobilized solidarity networks that encompassed various regions and social classes. As experience in social movements accumulated over the decades, Korea’s citizens became participatory citizens. In other words, it was through direct resistance, such as rallies and protests, rather than through the systematic political process that they came to feel a sense of political efficacy as political agents.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e parties, represented by the Democratic Party, and its activist-turned-politicians, as well as the progressive activists who sought to bring together the public square and the assembly hall through the organization of progressive parties, both failed to grow into powers that could create a national solidarity or formulate national alternatives. Thus, the advancement and strengthening of Korea’s democracy cannot be understood without the key contributions made by social movements.
By researching in detail the process of Korea’s democracy, Lee criticizes the assumption of prior Western scholarship that situates party politics at the center of democratic politics and views civic associations as narrowly focused, transient organizations. The experience of Korean democracy suggests a new theory behi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democratization by serving as a historical precedent in which democracy was advanced through social movements rather than party politics. Furthermore, whereas prior research on social movements characterized their nature as partial, peripheral, and temporary, Lee emphasizes how Korea’s social movements can be viewed as national, organizational, and constant.
President Yoon Suk Yeol’s imposition of emergency martial law on December 3, 2024, which undermined constitutional order, was likely carried out in ignorance of the influence wielded by Korea’s democratic citizens. In response, Korea’s citizens and civic groups once again took to the streets and squares, reaffirming their position as the true agents behind the creation and advancement of Korea’s democ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