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Newsletter/Webzine

이미지 제공: Martin Adams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또다른사회주의.jpg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한국 사회주의 사상.문화사 

연구책임자

박종린

주관연구기관

한남대학교

​발행년월

2025.01.10.

저서명

또 다른 사회주의 -한국 사회민주주의의 역사적 기원-

저자

윤덕영

출판사

역사비평사

초록

  이 책은 세계 사회민주주의의 역사적 상황과 특징에 유의하면서, 한국 사회주의운동의 역사 속에서 소련과 코민테른에 의해 지도되거나 이를 지향한 공산주의운동이 아닌, 또 다른 사회주의운동의 양상을 1920년대 초반부터 해방직후 시기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이 책에서는 당시 '좌익 사회민주주의'라 불리면서, 사회민주주의로 포섭되어 갔던 식민지 조선 사회주의 흐름의 일부를 서구와 일본 사회주의운동의 흐름과 구체적으로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이 책은 일제하에서 해방 직후 사회주의 운동을 공산주의 운동 범주만으로 전일화시켜 살펴보는 기존의 이해를 극복하기 위해서, 또한 식민지 조선은 서구나 일본과 달리 사회주의 이념이 민족주의의 영향 하에 미분화되었다는 인식을 부정하기 위해 쓰였다. 조선이 낙후된 식민지였고, 사회주의자들에게 민족주의적 의식이 강하게 잔존했던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20년대 중반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도 마르크스레닌주의가 공산주의 운동에 명백히 관철되어갔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볼셰비즘과 그렇지 않은 사회주의 사상이 구분되었다. 1920년대 후반 스탈린주의가 코민테른을 통해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그 양상이 분명해졌다. 
  이 책에서 다루는 사람들 다수는 일제하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했지만 여러 계기로 공산주의 운동에서 떨어져 나와 코민테른과 다른 길을 걸은 사람들이다. 그리고 이들 중 상당수는 사회민주주의의 정체성을 가지고 해방 후 대표적 우익 정당인 한국민주당에 합류한다. 이들은 초기 한국민주당의 진보적 흐름을 이끌어내는 데 일정한 역할을 담당했지만, 1946년 좌우합작운동을 계기로 대부분 탈당하고 민중동맹 등 중간파 세력을 형성한다.

KSPS

온라인뉴스레터Newsletter

Naself CEO Hye-Young Kim | Business number: 162-87-00920

Tel. 02 900 8653 ~ 5 | Fax. 02 6455-8654 | Mail: master@myonkorea.com


Location: 48th floor, 48, 191, Dongil-ro, Nowon-gu, Seoul

Location: (Governor) 12th Floor, Prime Business Center (Gongdeok Building), Mapo-gu, Seoul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Dong-sub Song 02-900-8655

  • Facebook
  • YouTube

SSL / TLS authentication sit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