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뉴스레터
Newsletter
검색 결과
74 results found with an empty search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한국 근대화의 사상적 동력 : 근대 조선과 대한민국 건국기까지의 거대 담론들 연구책임자 황태연 주관연구기관 동국대학교 연구수행기간 2013.05.06 ~ 2016.05.05 저서명 실학의 신화와 역설 저자 고희탁 출판사 공감의 힘 초록 이 책은 나의 아주 오래된 의문 가운데 하나, 즉 ‘어째서 우리나라는 일본과는 다르게, 19세기 후반 이른바 웨스턴 임팩트에 의한 구조변동기에 근대화에 성공하지 못했을까?’라는 질문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지금은 그렇게 절실한 또는 유의미한 혹은 정확한 질문일지는 모르겠지만,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해방과 6·25전쟁, 독재와 고도경제성장을 겪은 세대들에게는 물론, 1980-90년대 소니나 파나소닉의 세계적 파워를 실감했던 우리 세대에게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그것도 심각함이 묻어나던 의문 가운데 하나였다. 나의 동경대 유학시절, 일본의 전근대 즉 도쿠가와막부[德川幕府]·에도[江戶]시대 정치사회의식의 변화에 대한 연구에 몰두했던 것도 그와 같은 의문의 연장선상의 일이었다. ‘의식의 변화’라는 측면에 한정된 것이기는 하지만, 일본의 ‘성공’이 어떻게 가능했는지를 내 나름의 시각에서 탐색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19세기 후반 일본의 성공은 그 이전 시대 즉 도쿠가와시대에 진행된 그 ‘의식의 변화’가 밑거름 역할을 한 사상적 토양이 있었기에 가능해진 것은 아니었을까, 그 배양토 위에서 자라난 꽃·열매이지 않았을까라는 생각 때문이었다. 그 탐색의 결과에 대해서는 차치하고서라도, 내게는 새롭다고 여길 만한 시각, 즉 유학·유교가 ‘근대화’에 친화적인 사상자원으로 기능할 수도 있었겠다는 시각이 생겼고, 그 이전에는 쉽게 생각할 수 없었던 지평으로까지 시야가 넓어지게 되었다. 특히 기득권세력이나 전통적 지식인층에게만 독점되던 유학이 아니라, 비기득권층이나 비지식인층에도 ‘열린’ 유학이 초래할 유학의 또 다른 가능성에 눈을 뜰 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국민국가’ 형성에도, ‘시민’의 탄생에도, 민주주의에도 친화적인 유학의 이미지 말이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내가 그때까지 우리나라에서 직·간접적으로 접해왔던 일반적 이미지와는 확실히 다른 결을 지닌 유학 이미지였으니까 말이다. 그 이후 시간이 더 흐른 뒤였지만, 마테오 리치를 비롯한 예수회 선교사들의 번역과 소개를 시발점으로 하여 공자철학(Confucianism)이 유럽의 이른바 계몽주의 형성과 전개에 심대한 사상적 영향을 끼쳤다는 놀라운 사실史實에도 접하게 되었다. 내게는 또 다른 엄청난 ‘충격’ 그 자체였다. 그와 함께 동일하게 ‘유학·유교’라 불리워도, 정치사회적 기능면에서 보면 전혀 다른, 어떤 면에서는 정반대라고도 할 수 있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유학·유교’ 버전의 존재·가능성을 깨닫게 되었다. 단적으로 말하면, ‘근대화’ 혹은 민주주의에 친화적인 버전과 그에 반反하는 버전의 존재 말이다. 그리고 유럽 계몽주의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 유학이나 일본 도쿠가와시대 ‘의식의 변화’를 추동한 유학과는 다르게, 우리에게 익숙한 이미지의 유학은 ‘봉건적’이자 ‘전근대적’ 혹은 ‘반근대적’인 버전의 유학이었다는 점을 말이다. 이와 같은 유학의 ‘두 가지 버전’의 존재를 확신하게 된 이후부터, 나는 실학 관련 연구·문헌을 본격적으로 살펴보기 시작하게 된 것 같다. 그때까지는 내게도 실학은 우리 한국인들에게 익숙한 이미지, 즉 조선시대의 개혁과 희망의 아이콘이라는 이미지였는데, 그 이미지의 실제 여부를 ‘두 가지 버전의 유학’이라는 시각에서 새롭게 조명해볼 필요가 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그와 동시에 또 다른 일반적 이미지, 즉 그런 개혁적 실학을 배척하고 외면했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띠는 ‘어두운 시대’의 실상에 대한 의문도 아울러 풀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러나 실학 관련이든 시대사 관련이든, 내가 깊이 파고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익숙한 일반적 이미지와는 전혀 다른, 오히려 그와 상반相反되는 사실들과 직면해야 했다. 대체적으로 실학은 ‘그렇게’ 개혁적이기는커녕 오히려 그에 반하는 경우가 많았고, 더욱이 ‘시대’는 어둡기는커녕 오히려 이른바 ‘근대화’에 친화적인 활력으로 넘쳐났다. 개혁적인 실학과 그런 실학을 외면한 시대라는 일반적 이미지는 ‘허구’에 가깝고, 실제로는 실학이 오히려 역동적인 시대의 활력에도 못 미칠 정도로 시대착오적이었다는 점이 더 명확해질 뿐이었다. 한편으로는 놀라웠고 다른 한편으로는 참담했다. 그 결과물인 이 책 『실학의 신화와 역설』은 그런 무지에 대한 고백이자 비판이기도 하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호주와 뉴질랜드의 한인 연구: 새로운 세대의 부상과 (탈)공동체적 삶의 현재와 미래 연구책임자 문경희 주관연구기관 창원대학교 발행년월 2023.05.26 저서명 호주 한인과 소속의 정치: 이민, 세대, 젠더와 (탈)공동체적 삶 저자 문경희 출판사 국립창원대학교 출판부 초록 이 책은 호주 한인의 이민과 공동체 소속의 정치를 시민권, 에스니시티, 젠더 등의 키워드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국내 해외한인연구에서 호주 한인에 대한 연구가 거의 부재하다. 현지 면담 조사를 통해 수집한 경험적 자료와 분석을 토대로 한 이 연구는 호주 한인의 다양한 유형의 공동체적 삶에 대해 소속과 참여 개념을 중심으로 한 유용한 논의를 제공한다. 또한 호주 한인을 부모 자녀 세대, 또한 초기(1970년대~1990년대) 및 후기(2000년대 이후) 이민 세대, 젠더정체성 등으로 구분해서 한인 이민자의 개별성과 집합적 특성을 동시에 보여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한국 근대의 토지와 농민 연구책임자 이영학 주관연구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용인캠퍼스) 발행년월 2023.12.15. 저서명 조선후기 양전사업과 토지개혁론 저자 최윤오 출판사 도서출판 혜안 초록 본 연구는 세 계통의 토지개혁론이 공조철법에서 출발하되, 양전법, 방전법, 정전법 등과 같은 단계적이며 점진적인 토지개혁 논리로 토지개혁을 실천해야 한다는 다산 정약용의 토지개혁론을 주목함으로써 조선정부의 양전법이 갖는 한계와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 같은 방법은 조선왕조의 지배적인 운영의 논리가 양전법에 기반을 두고 출현했지만 그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전법이나 정전법과 같은 토지개혁론을 시행하지 않으면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같은 점에서 양전법과 방전법, 정전법은 계통적으로 조선의 소유권 발달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모순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해준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유권의 역사를 재검토하는 동시에 소유권을 둘러싼 인간의 욕망과, 또한 소유권을 통제하거나 절제하는 방안을 통해 새로운 사회를 기획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 본 책의 최종적인 목표가 될 것이다. 이 같은 연구목표는 조선시기 소유론과 그것을 둘러싼 개혁론을 추적하는 방법을 통해 제시될 것이다. 공법과 조법, 철법의 본래 의미로부터 그것이 각 시기 개혁적 지식인에 의해 어떻게 재해석되어 왔는가하는 점과, 나아가 세 계통의 토지파악 방식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종합함으로써 소유권의 발달과 사회개혁의 관계를 추적하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이다. 이 같은 연구방법론을 통해 토지소유권 불균과 농민의 몰락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써 양전법과 방전법, 정전법이 가지는 의미를 제시하고, 나아가 그것을 통해 균세론과 균역론, 균산론 차원의 토지개혁론이 갖는 역사적 성격을 추적해 보고자 한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사업명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과제명 중국내 근·현대한국학 및 한중관계학 선도 연구·교육 시스템 구축 연구책임자 김동길 주관연구기관 北京大學 (Peking University) 발행년월 2024.07.01. 저서명 기밀문건 속 한국전쟁 저자 션즈화 출판사 ㈜피엔에이월드 초록 본 자료집은 중국의 관영기관에서 출간한 한국전쟁 관련 자료와 러시아의 각 당안관에서 공개한 자료들을 사안별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한국전쟁 기간 소련과 중국의 정책결정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국전쟁에 관한 중국측의 자료는 주로 중공중앙문헌실(中共中央文獻室)에서 발간되고 있으며, 중국공산당 최고지도자들의 정책결정 과정에 관련된 자료들을 문고(文稿), 문집(文集), 연보(年谱), 문선(文选) 및 지도자들의 전기 형식으로 발간하고 있으며, 자료들은 계속 업데이트되고 있다. 본 자료집에서는 『건국이래모택동군사문고(建国以来毛泽东军事文稿』(上卷, 中卷,下卷), 『건국이래주은래문고(建国以来周恩来文稿)』(第二册,第三册, 第四册, 第五册, 第六册, 第七册, 第八册),『주은래군사문선(周恩来军事文选)』 (第四卷),『팽덕회군사문선(彭德怀军事文选)』, 『건국이래유소기문고(建国以来刘少奇文稿)』(第一册, 第二册), 『中国人民解放军军事博物馆抗美援朝战争展馆』에 수록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뿐만 아니라,『中國外交部檔案館』 에서 발굴한 자료와, 러시아 당안자료이지만 당안번호를 확인할 수 없는 러시아 자료는 심지화교수가 별도로『俄國檔案原文複印件彙編:朝鮮戰爭』로 편집한 자료집에서 발췌한 자료중에서, 사안별로 러시아 자료들과 시간순으로 배열하였다. 이러한 작업이 가능했던 이유는, 본 자료집의 편집자인 심지화(沈志華)교수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한국전쟁 관련 러시아 및 중국자료를 확보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고 생각한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해외한국학자를 만나다: 튀르키예 이스탄불 대학교 정은경 Eunkyung jeong (튀르키예) 세부사업명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발전단계(Advanced Track) 과제명 연구수행기관 연구기간 중앙유라시아 한국학 학문후속세대 양성 체재 구축 Istanbul University 2022-06-01 ~ 2027-05-31 (60개월) 1. 먼저 한국학진흥사업단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을 위해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저는 이스탄불대학 한국어문학과에서 가르치고 있는 정은경이라고 합니다. 한국에서 투르크 민족주의 역사를 주제로 석사과정을 마친 이후 이스탄불대학 역사학과에서 한국과 터키의 민족주의 역사 비교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한국과 튀르키예 문화현상 비교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는 중입니다. 학과에서 한국문화와 역사를 비롯한 한국학 개론 분야와 초급 한국어 (쓰기 및 문법) 강의를 담당하고 있으며 지난해 가을학기부터는 튀르키예 국방대학에도 출강하고 있습니다. 2. 현재 거주 중인 국가에서 한국학 분야 연구 및 교육활동을 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으신가요? 박사과정 졸업 즈음인 2010년 초에 한국 정부 현지 공관에서 조사역 (일종의 연구원)의 포지션을 제안받아 근무하게 되면서 튀르키예 경제 상황 분석 및 정무, 그리고 문화 업무를 담당하였습니다. 당시 한류가 현지에서 본격적인 성장을 시작한 시점이었기 때문에 한국의 문화적 위상과 국격 제고라는 목표로 정부 차원의 문화예술 행사, 현지에 맞는 문화콘텐츠 개발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기획하고 수행하면서 해외 한류의 발전을 현장 경험하고 소프트파워가 공공외교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직접 목도하게 되었습니다. 한류의 여파로 한국에 대해 배우려는 현지인들이 증가하자 저는 한국학이 강한 모멘텀을 받고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고 튀르키예 현지에 한국학 연구의 토대를 만드는 것이 시급한 일임을 자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잠시 떠나 있던 학계로 돌아가기로 결심했는데, 마침 그때 이스탄불대학 본부로부터 한국학과 설립을 위한 제반 업무를 요청받았습니다. 학과 설치를 위한 행정 전반과 강의 커리큘럼 구축, 교원 선발 등 짧은 시간 안에 모든 일들이 순조로이 진행되어 2016년 9월 이스탄불대학 문과대 내 한국어문학과가 신설학과로 첫 신입생을 받는 기적 같은 일이 실현되었습니다. ▶ 학과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iu_kore/ ▶ 학과 유튜브: https://www.youtube.com/@iu_kore ◀ 한국문화축제 참여하여 공연을 하고 있는 모습 (2022년 11월) 3. 현재 튀르키예와 인근 국가의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나 한국학 연구, 교육 현황은 전반적으로 어떤가요? 튀르키예는 한국전 참전 등의 계기로 이전부터 한국에 대해 우호의식을 지니고 있었는데, 한류의 영향으로 현지 젊은 층의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한국어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튀르키예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인식한 한국 기업들이 지역 경제의 한 축을 형성해가고 있습니다. 이처럼 한국 경제와 한류의 성장은 한국학의 발전과 경쟁력을 견인하는 중요한 동인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동안 튀르키예 내에서 한국에 대한 연구는 양국 관계의 변화를 따라 발전해 왔는데, 현재 앙카라대학(1989), 에르지예스대학(2003), 이스탄불대학(2016) 등 국립대학 세 곳에 한국어문학과가 정식으로 설치되어 한국학 교육을 진행해 오고 있습니다. 그 외에 한국어를 정규 선택 교양과목으로 개설하는 대학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유럽 언어의날 행사 부스를 운영하고 있는 모습 (2023년 10월) 4. 2018년부터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을 통해 중앙 유라시아 지역 및 이스탄불대학교에 한국학 기반을 구축하고 향후 한국학과의 강화 및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 활동을 진행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사업을 통해 다수의 한국학 연구 인재들이 배출되었으며, 한국학 워크숍과 국제 교류 행사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이러한 성과를 이루기 까지의 과정과 그 성과에 대해 말씀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2018년-2021년 “중앙유라시아 지역의 한국학 허브 구축”을 목표로 씨앗형사업(초기단계)을 수행했으며, 2022년부터는 “한국학 후속세대 양성체제 구축”이라는 주제로 5년간 씨앗형사업 (발전단계)을 추진하는 중입니다. 그동안의 사업 내용과 성과를 간략히 살펴보자면, 지난 사업기간 동안 학과의 사업팀은 총 11권의 현지 맞춤형 교재 및 한국학 저서들을 출판했으며 13편의 사사표기 논문을 등재지에 게재했습니다. 또한 한국에 교환학생으로 가거나 연수를 간 학생들 및 사업을 보조하는 학생 조교 등 총 35명의 학과 학생에 대해 장학금 지원을 실시했습니다. 그리고 국제 교류 활동의 연계를 통한 학술교류와 한국학 연구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중앙유라시아 지역의 한국학 전문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중앙유라시아 한국학 국제학술대회’와 ‘한국학 전문가 초청 워크숍’,’대학생 및 대학원생국제학술 올림피아드’를 매년 개최하였습니다. 연례적으로 개최된 해당 행사들은 역내 한국학의 자생기반 구축에 대한 논의의 장이 됨과 동시에, 한국학 후속세대의 양성과 발전의 기반을 다지는 의의가 있었다고 평가됩니다. 아울러 해당 프로그램의 연계 행사로 이스탄불대학 한국어문학과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한국문화 공연 및 한.터 전통의상 패션쇼, 한국전통공예, 한식 소개행사 등 한국 문화를 알리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장을 마련했는데, 이는 대학 현지 교수진과 학생들에게 한국문화를 알리고 한국학의 저변을 확대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 중앙유라시아 한국학 연구소 총장님 방문 (2024년 5월) 한국학 전문가 워크숍 ▶ (2024년 2월) 5.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을 씨앗단계에서부터 현재 발전단계에 이르기까지 수행하시면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으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현장에서 가장 크게 느끼신 어려움이 있다면 무엇이었으며, 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셨는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또한,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이 사업을 통해 보람을 느끼신 부분이 있다면 함께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 저희 연구진들의 가장 큰 목표는 본 사업팀이 소속된 학과에 한국학의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위한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며,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대학원 설립은 반드시 필요한 과정입니다. 그러나 까다로운 현지 교육 당국의 대학원 개설 규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본과 교수진은 한국학 전공의 대학원 개설을 위해 이스탄불대학 측과 지속적으로 논의하는 중에 있으며, 문과대 내 중국학과와 연계해 2025년 가을학기 극동학대학원 산하에 한국학 전공을 개설하는 것을 목표로 전력하고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전문 한국학 연구자를 꿈꾸는 저희 학과 졸업생들이 본교 대학원 개설이 지연되자 한국으로 향하고 있는데, 현재 서울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등 한국 유수의 대학원에서 GKS 정부초청장학생 지원으로 수학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미래 한국학의 동량이 될 인재들로서 역내 한국학 교육 연구의 자생적 발전을 견인할 학문후속세대의 한 축을 형성하게 될 것입니다. 6. 해외한국학사업을 수행하시면서 장기적으로 이루고 싶은 목표나 바람이 있다면 무엇인지 말씀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이 사업이 튀르키예의 한국학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어떤 변화를 이끌어내고 싶으신지 궁금합니다. 금번 사업기간 동안 본 사업팀 학과의 대학원과정 개설이 완료되어 자체적인 학문후속세대 양성 체계가 마련되기를 기대합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한국학 교육·연구 활동을 위한 자체 인력풀이 구축되고, 한국학이 현지에 뿌리를 든든히 내린 학문으로서 자생적인 학문적 기반과 위상을 확보하며 발전하기를 희망합니다. 7. 튀르키예와 인근 권역 국가에서의 한국학 확산과 연구‧교육 활성화를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해외의 한국학 연구자들에게 가장 어려운 점 가운데 하나는 전문 한국학 서적 및 논문 등 한국학 자료에 대한 접근의 문제일 것입니다. 현재 KF와 같은 기관에서 자료지원 사업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여전히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한국학 후속세대 양성과 인프라 구축에 있어서 한국학 자료 활용을 위한 해결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여겨집니다. ◀ 학과 잡지 KOREA Corner 표지 (2024년 9월) 8. 질문에 대해 답변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과 국내외 한국학 연구자들, 또는 한국학진흥사업단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이스탄불대학 한국어문학과는 학과 개설 이후 여러 불비한 여건 속에서도 교육 및 연구 기반구축, 그리고 한국학 활동에 있어서 단기간에 상당한 학술 활동성과를 이루어 내었는데, 이러한 성과들은 한국학진흥사업단의 지원이 없었더라면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이 자리를 통해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Meeting with Korean Studies Scholars Abroad Eunkyung Jeong Istanbul University (Türkiye) 1. First,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My name is Eunkyung Jeong and I teach at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Istanbul University. After completing my Master’s program in Korea on the history of Turkish nationalism, I received my Ph.D. on a historical comparison of Korean and Turkish nationalism from the Department of History at Istanbul University. Currently, I am interested in and conducting comparative research on cultural phenomena in Korea and Türkiye. In our department, I am responsible for introductory Korean studies courses like Korean culture and history, as well as introductory Korean language lectures (writing and grammar). Since the autumn semester of last year, I have also been giving lectures at the National Defense University. 2. What led you to become active in Korean Studies research and education in Türkiye? Around the time I completed by Ph.D. program in 2010, I was offered a position working as an investigator (a kind of researcher) at the South Korean diplomatic office in Türkiye. While working there, I was responsible for analyzing the local economic conditions and state affairs, as well as cultural business. As this was when the Korean Wave fully took off in Türkiye, I planned and carried out diverse programs, such as culture and art events and the localized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that aimed to enhance Korea’s national status on a government level. Though this, I experienced firsthand the development of the global Korean Wave and directly witnessed the influence and effects of soft power on public diplomacy. As the number of locals seeking to learn about Korea increased as an effect of the Korean Wave, I came to recognize the strong momentum Korean Studies was experiencing and realized that laying the groundwork for local Korean Studies research in Türkiye was an urgent matter. Just as I decided to return to the academia that I had briefly left, I received a request from the main office of Istanbul University to oversee various matters for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 Studies department. All matters, such as the overall administration to establish the department,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selection of teaching staff, proceeded smoothly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So, in September 2016,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ithin the School of the Humanities at Istanbul University was able to welcome its first students. ▶ 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iu_kore/ ▶ Youtube: https://www.youtube.com/@iu_kore 3. In Türkiye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what is the current interest in Korean culture or what is the overall situation regarding Korean Studies research and education? For reasons such as their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Turkish people have long had a sense of friendship toward Korea. And as interest in Korean popular culture among younger generations grew with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the demand for the Korean language has also increased. Furthermore, Korean companies, recognizing Türkiye’s geopolitical importance, are becoming a mainstay in the local economy. In this way, the Korean economy and the growth of the Korean Wave can be seen as important catalysts sparking and leading the advancement and strength of Korean Studies. Research on Korea within Türkiye developed alongsid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Currently three public universities, namely Ankara University (1989), Erciyes University (2003), and Istanbul University (2016), provide Korean Studies education through official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s. Apart from this, there has also been an increase in universities offering Korean language as a regular elective course. 4. Through the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your team has undertaken various research activities aimed at strengthening the basis of Korean Studies and advancing the Korean Studies program, not only at Istanbul University but also in the Central Eurasian region, since 2018. Through this program, you have fostered many Korean studies research talents and have been steadily hosting Korean Studies workshops and international exchange events. Please introduce those outcomes and the process by which you achieved them. From 2018 to 2021, we carried out the Seed Program for Korea Studies (Beginning Track) project entitled “Building a Korean Studies Hub in the Central Eurasian Region.” From 2022, we have been undertaking a five-year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Advanced Track) entitled “Building a System for Fostering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Studies Scholars.” Taking a brief look at the content and outcomes of the project thus far, we have published a total of 11 volumes of textbooks tailored for local usage and Korean Studies monographs, and produced 13 journal articles. Furthermore, we have provided scholarships to a total of 35 students, including students sent to Korea for exchange or training, as well as project assistants. Also, related to international exchange activities for the Korean Studies researchers in the region, we annually hold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entral Eurasian Korea Studies, a workshop for invited Korean Studies experts, and an international academic Olympiad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o promote academic exchange and build a Korean Studies research network. These yearly events, which have also served as a venue for discussions on building a natural foundation for Korean Studies in the region, is deemed quite significant in laying down the basis for the fostering and advancement of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Studies. Also, related to the program, we provide diverse venues through which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Korea Language and Literature at Istanbul University can take the lead in sharing and experiencing Korean culture, such as Korean culture performances, traditional Korean and Turkish costume fashion shows, and introductions to Korean traditional crafts and food. This became an important impetus for making Korean culture known to the local faculty and students, and expanding the base of Korean Studies. 5. While participating in the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from the Beginning Track to the Advanced Track, you must have experienced some difficulties. What do you feel has been the biggest challenge thus far and what efforts did you take to overcome it? And, what parts did you feel were worthwhile despite the challenges? Currently, our research team’s biggest goal is building a system for the fostering of future generations of Korean Studies scholars within our depart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graduate school is a mus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However, we are facing difficulties due to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strict regula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graduate schools. Our department faculty have been in continued discussions with Istanbul University to establish a graduate school for the Korean Studies major, and we are aiming to launch a Korean Studies major in the autumn semester of 2025 under the Graduate School of Far East Studies, in connection with the Chinese Studies department within the School of the Humanities. In the meantime, as the establishment of our university’s graduate program is being delayed, our program graduates who dream of becoming researchers specializing in Korean Studies have turned to Korea and are currently attending some of Korea’s best graduate schools, such as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and Ewha Womens’ University, with support from the GKS scholarship. As talents which will become the pillars of the future of Korean Studies, they will become the crux of next generation scholars who would lead the natural advancement of Korean studies education and research in the region. 6. What long-term goal or wish do you hope to achieve during or after this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What influence has this program had on the advancement of Korean Studies in Türkiye and what kind of change do you ultimately hope to achieve? During the current project period, I expect that by completing the establishment of a graduate program within our department, we will set up an independent system to foster the next generation of scholars. Through this, I hope that by building an independent personnel pool for diverse Korean Studies education and research activities and making Korean Studies a deeply rooted field of study here, we can secure and advance a scholarly basis and status that can grow naturally. 7. In Turkey and the surrounding countries, what kinds of resources are needed to spread Korean Studies and invigorate research and education?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for overseas Korean Studies researchers is the problem of accessing Korean Studies materials such as books and journal articles. Although there are resource support programs being offered by institutions like the Korea Foundation, the situation remains limited. In order to foster future generations and build infrastructure for Korean Studies, I believe that solutions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Korean Studies materials must be secured. 8. Thank you for your detailed answers to our questions. In conclusion, please share a word with the newsletter’s readers, Korean Studies researchers both in Korea and abroad, and the KSP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Istanbul University, we were able to achieve a great deal of academic activity outcomes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terms of building a basis for education and research, as well as Korean Studies activities, despite dealing with various unfavorable conditions. These outcomes would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the support of KSPS, so I would like to use this opportunity to once again express my gratitude.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재미한인 차세대의 다양성 및 초국가적 관계와 활동에 대한 연구 연구책임자 정은주 주관연구기관 인천대학교 연구수행기간 2016.06.01. ~ 2019.05.31. 저서명 하와이 한인 법률가의 정체성과 다양성 저자 이재협 출판사 인터북 초록 미국으로의 한국이민이 시작된 지 120년이 지난 현재 한인 이민 후손들이 전문직으로 진출하고 공직에 선출되는 사례가 늘면서 미국 내에서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이민의 역사가 가장 오래된 하와이에서는 법조계, 정부의 고위직 등 공적 영역에서 한국계 미국인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그러함에도 재미 한인사회의 전문가 집단에 관한 경험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책에서는 한국 이민자들이 하와이의 정치·경제적 변화 속에서 어떠한 과정을 통해 법률 전문직으로 진입하게 되었고, 그들의 삶 속에서 종족 정체성, 지역 정체성, 직업적 정체성은 어떻게 결부되며 작용하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이민 1세, 2세, 3세 한인 법률가들과의 면접을 통해 하와이 한인 법률가들의 교육 및 직업 활동, 정체성 인식, 타 인종 혹은 타 종족 간의 관계, 주류사회 및 교민사회와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미국에서 가장 다인종적이고 다문화적인 인구구성과 문화적 특성을 지닌 하와이의 한인 법률가 연구는 현재의 재미 한인사회에서 나타나는 지역적, 직업적 다양성을 잘 드러내 주는 사례로서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구독신청 구독신청란 이름 이메일 이메일 개인정보사용에 동의하십니까? 구독신청 구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게시판 | KSPS온라인뉴스레터
To test this feature, visit your live site. Categories All Posts My Posts KSPS온라인소식지 Create New Post KSPS Notice subcategory-list-item.views subcategory-list-item.posts 17 Follow KSPS News subcategory-list-item.views subcategory-list-item.posts 42 Follow KSPS Outcome subcategory-list-item.views subcategory-list-item.posts 14 Follow Project Outcome subcategory-list-item.views subcategory-list-item.posts 1 Follow New Posts ksr928 Feb 27 ”현대한국구술자료관-한국학중앙연구원×국가기록원, 구술사 시민강좌 3월 11일 연다“ KSPS News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김낙년)은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과 함께 3월 11일부터 4월 3일까지(매주 화·목) 대전 국가기록원 행정기록관에서 ‘2025년 구술사 시민강좌’를 개최한다. 구술사는 구술자와 면담자가 만들어 내는 기억의 기록이다. 최근 구술사는 학문분야 뿐만 아니라 영화, 만화, 글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도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다. 이번 강좌를 주최하는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고도화연구단’은 2019년부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구술사 온라인 아카이브 ‘현대한국구술자료관(http://mkoha.aks.ac.kr)’을 구축·운영하고 있다. 또한 구술 자료의 생산·수집·활용뿐만 아니라 구술사 교육·연구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구술사연구센터 구축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전문보기 출처 : 교수신문(http://www.kyosu.net) 0 comments 0 ksr928 Feb 24 [인터뷰] "2024년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유공자 표창자 : 안연선 교수" KSPS News 2024년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에서 유공자로 표창받으신 안연선 교수님(한국학과, Johann Wolfgang Goethe University)의 인터뷰가 공개되었습니다. 교수님은 학술연구지원사업을 통해 학문적 기여와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번 표창을 수여받으셨습니다. 교수님의 인터뷰에서는 연구의 열정, 성과, 그리고 앞으로의 비전에 대한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교수님의 소중한 경험과 통찰을 함께 나누고, 다른 연구자들에게도 큰 영감을 주고자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바로가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안연선 교수님께 축하의 말씀을 드리며, 앞으로도 더 많은 성과가 이어지길 바랍니다. 인터뷰 바로가기 0 comments 0 ksr928 Feb 20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 - '책부원귀'집성 및 역주 961건 공개" KSPS News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책부원귀(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홈페이지를 구축해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연구자 및 일반국민에게 공개한다. 공개된 자료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이 3년간 연구비를 지원한 고려대학교 정운용 교수 연구팀이 '책부원귀(冊府元龜)' 한국 관련 자료 961건을 교감∙역주한 결과물이다… 해당 자료는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내 원문, 번역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누구나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 ※ 검색방법 :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 누리집 검색창에서 ‘책부원귀’ 입력 → ‘연구과제(2)’클릭 → ‘홈페이지’ 클릭 전문보기 출처 : 위클리오늘(http://www.weeklytoday.com) 0 comments 0 Forum - Frameless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한국 근대관광의 탄생과 변용 연구책임자 조성운 주관연구기관 동국대학교 발행년월 2024.01.15. 저서명 한국 근대관광의 탄생과 변용 저자 조성운 출판사 도서출판 선인 초록 한국 근대관광의 기원과 변용 과정을 실증적으로 천착한 연구이다. 한말 이후 근대관광의 기원을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살폈으며, 일제의 조선 강점 직전인 1909년 경성일보사의 일본관광단 조직 이래 변용되기 시작한 근대관광의 모습을 천착하였다. 특히 근대관광 개발을 경성, 평양, 금강산을 중심으로 살펴 근대관광개발이 지방개발과 산업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지기도 했음을 밝혔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고려시대 관동 유람과 문화 연구책임자 김창현 주관연구기관 고려대학교 발행년월 2023.11.30. 저서명 고려시대 관동 유람과 문화 저자 김창현 출판사 도서출판 혜안 초록 본 저서는 고려시대 관동 즉 철령 동쪽 일대의 유람과 문화에 대해 조명한 글이다. 자료 결핍을 극복하기 위해 유람객이 읊은 시를 비판적으로 과감히 활용했다. 고려 관동에 대한 기존 연구는 군사·행정적인 측면 및 나말여초 호족·불교에 치중되어 있어 이를 극복하고자 했다. 고려시대 관동의 연혁과 특징을 살펴본 다음에 다양한 인물들의 관동 유람기를 고찰했고, 관동 여행 때 교통과 숙박은 어떠했는지 들여다보았다. 관동의 다양한 신앙을 고찰했고, 그 중에서도 돋보이는 오대산과 금강산의 신앙이 어떠했는지 규명했다. 고려말기에 이성계와 그 세력이 금강산에서 미륵하생 행사를 거행했는데 그 내용과 의미를 궁구했다. 삼일포는 관동 유람객이 가장 선호하는 곳 중의 하나였는데 이곳에 조성된 강릉도(동계) 매향비에 대해 매향 풍습과 함께 살펴보았다. 관동은 산수가 험하면서 빼어나 사람이 생활하기 어려운 측면과 감상하기 좋은 측면이 공존했기에 이에 유의하여 관동 유람기에 나타난 경관과 인식을 천착했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근현대 한국인의 경제적 상상 - 경제적 질서관념의 형성 과정 연구 연구책임자 도면회 주관연구기관 대전대학교 연구수행기간 2014.12.05 ~ 2016.06.04 저서명 한국인 경제관념의 근대적 기원 저자 도면회 출판사 선인 초록 ‘근현대 한국인의 경제적 질서관념’이란 주제는 아직 한국근현대사 연구자들에게는 매우 낯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누구누구의 경제사상, 경제 개혁론을 다룬 수많은 연구들이 나와 있지만, ‘질서관념’이란 어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다. 질서관념은 특정 시대, 특정한 공동체가 공유하는, 그렇기 때문에 공동체 구성원의 행위를 지배하는 생각들이다. 특정인의 생각이 아니라 그 생각들이 서로 연결, 대립, 중첩되면서 특정한 질서관념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지식들이 결합되고, 오랫동안 공유와 중첩의 과정이 반복되면서 형성되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질서관념은 또한 지식에 의해 사실 또는 진실로 확증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의심과 비판에서 빗겨나 있는 경우가 많다. 다소 모호하고 생소한 개념을 통해 근현대 시기 한국인이 경제문제를 어떻게 생각해 왔는가를 연구하겠다고 생각한 것은 한국경제가 저성장시대로 접어들면서 경제를 바라보는 기존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고, 또 전환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현재 경제문제를 바라보는 생각들을 의심하고 비판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