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온라인뉴스레터
Newsletter
검색 결과
All (148)
Other Pages (74)
Forum Posts (74)
Filter by
Type
Category
74 results found with an empty search
- "한국학 연구 동향 분석-2007~2023년 선정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In KSPS Outcome·2025년 3월 27일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처 연구정책실에서는 한국학 연구 정책 기획의 일환으로 ‘2007~2023년 선정된 한국학진흥사업단 국내한국학사업 연구과제’를 분석하여 한국학 연구 동향을 정리하였습니다. 국내한국학사업은 정부의 중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기획 지원을 바탕으로 한국학 연구를 발전시키고, 이를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한국학의 주요 연구 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바로가기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 소식지 25년 2월호 (https://www.aks.ac.kr/webzine/2502/main.jsp)004
- "2024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3선 선정"In KSPS Outcome·2025년 3월 26일우수학술도서 선정·지원 사업은 기초학문분야의 우수 학술도서를 선정하여 대학에 보급함으로써 우수 연구성과를 공유‧확산하고, 기초학문 분야 연구 및 저술활동을 활성화하고자 2002년도부터 추진해온 사업입니다. 올해 선정 대상은 2023.3.1.~2024.2.29. 기간 국내에서 초판 발행된 기초학문 분야 학술도서입니다. 한국학진흥사업의 지원을 받아 선정된 우수학술도서는 총 3개입니다. 1. <사회과학분야>'라코리아'의 한인들: 미 서부 한인 에스노버브에서 소수자 중 다수자로 살기(정은주 저) 2016년 선정 "재미한인 차세대의 다양성 및 초국가적 관계와 활동에 대한 연구" 총 8권 중 1권 2. <인문학분야>임진-한탄강 유역 구석기 연구(유용욱 저) 2014년 선정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임진-한탄강 유역 구석기 연구" 과제 최종결과물 3. <한국학분야>조선후기 양전사업과 토지개혁론(최윤오 저) - 2011년 선정 모던코리아 학술총서 "한국 근대의 토지와 농민"과제 총 4권 중 1권 현재 한국학진흥사업에서는 한국학대형기획총서의 3개 분야(20세기한국학술총서, 21세기한국문화총서, 한국예술총서)를 통하여 전문가들의 역량이 깃든 저술출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전문보기 출처 : 대학지성 In&Out002
- 2025년도 한국학진흥사업 사업비 사용 기준 알림 (국내한국학사업)In KSPS Notice·2025년 3월 24일2025년 한국학진흥사업 국내 사업 분야에 지원 및 참여 하시는 분들 께서는 붙임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한국학진흥) 사업비 사용기준>을 참고하여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0032
- ”현대한국구술자료관-한국학중앙연구원×국가기록원, 구술사 시민강좌 3월 11일 연다“In KSPS News·2025년 2월 27일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김낙년)은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과 함께 3월 11일부터 4월 3일까지(매주 화·목) 대전 국가기록원 행정기록관에서 ‘2025년 구술사 시민강좌’를 개최한다. 구술사는 구술자와 면담자가 만들어 내는 기억의 기록이다. 최근 구술사는 학문분야 뿐만 아니라 영화, 만화, 글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도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다. 이번 강좌를 주최하는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고도화연구단’은 2019년부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구술사 온라인 아카이브 ‘현대한국구술자료관(http://mkoha.aks.ac.kr)’을 구축·운영하고 있다. 또한 구술 자료의 생산·수집·활용뿐만 아니라 구술사 교육·연구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구술사연구센터 구축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전문보기 출처 : 교수신문(http://www.kyosu.net)0035
- [인터뷰] "2024년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유공자 표창자 : 안연선 교수"In KSPS News·2025년 2월 24일2024년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에서 유공자로 표창받으신 안연선 교수님(한국학과, Johann Wolfgang Goethe University)의 인터뷰가 공개되었습니다. 교수님은 학술연구지원사업을 통해 학문적 기여와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번 표창을 수여받으셨습니다. 교수님의 인터뷰에서는 연구의 열정, 성과, 그리고 앞으로의 비전에 대한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교수님의 소중한 경험과 통찰을 함께 나누고, 다른 연구자들에게도 큰 영감을 주고자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바로가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안연선 교수님께 축하의 말씀을 드리며, 앞으로도 더 많은 성과가 이어지길 바랍니다. 인터뷰 바로가기0039
-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 - '책부원귀'집성 및 역주 961건 공개"In KSPS News·2025년 2월 20일한국학중앙연구원은 “'책부원귀(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홈페이지를 구축해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연구자 및 일반국민에게 공개한다. 공개된 자료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이 3년간 연구비를 지원한 고려대학교 정운용 교수 연구팀이 '책부원귀(冊府元龜)' 한국 관련 자료 961건을 교감∙역주한 결과물이다. 해당 자료는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내 원문, 번역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누구나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 ※ 검색방법 :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 누리집 검색창에서 ‘책부원귀’ 입력 → ‘연구과제(2)’클릭 → ‘홈페이지’ 클릭 전문보기 출처 : 위클리오늘(http://www.weeklytoday.com)004
- “동국대 K학술확산연구소사업 - 시대 흐름 맞는 한국불교 외연 확장”In KSPS News·2025년 2월 17일동국대 불교학술원(원장 정묵스님) 산하 K학술확산연구소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플랫폼을 통해 한국불교 관련 강좌 30개를 1월15일부터 12월31일까지 1년간 상시 운영한다. K학술확산연구소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 지원 사업을 통해 2021년부터 5년간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라는 아젠다로 50개의 강좌를 제작한다... 전문보기 출처 :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0021
- "동국대 불교학술원 한국불교 전문 강좌 개설"In KSPS News·2025년 2월 12일동국대 불교학술원(원장 정묵스님)은 “K학술확산연구소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플랫폼을 통해 한국불교 관련 강좌 30개를 1월15일부터 12월31일까지 1년간 상시 운영한다”고 밝혔다. K학술확산연구소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 지원 사업을 통해 2021년부터 5년간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라는 아젠다로 50개의 강좌를 제작한다. 기존에 운영하던 강좌 20개에 2024년 신규 제작 강좌 10개를 추가하면서, 올해에는 총 30개 강좌를 상시 운영할 계획이다. 전문보기 출처 :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003
- "2024년도 세종도서 학술부문 도서 6선 선정"In KSPS Outcome·2025년 2월 6일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2024년 세종도서 지원 사업' 공고를 통해 접수된 7902종(학술 2399종, 교양 5503종) 도서 가운데 최종 790종(학술 363종, 교양 427종)을 추천도서로 선정했다고 최근 밝혔습니다. 세종도서는 양서 출판 의욕을 진작하고, 독서 문화 향상을 위해 매년 발표하고 있습니다. 한국학진흥사업의 지원을 받아 선정된 2024년도 세종도서는 총 6개입니다. <사회과학 분야> 1. '권력과 사상통제(김동춘 저)' 2020년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선정과제 - 한국의 사상통제 2. '제5공화국(강원택 저)' 2021년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선정과제 - 제 5 공화국 연구 <문학 분야> 3. '연행사와 18세기 한중 문화교류(신익철 저)' 2022년 한국학국영문사전편찬사업 선정과제 - 연행록사전(燕行錄事典) 편찬 및 DB 구축 사업 (Ⅲ) 4. '한말사대가 평전 4책 중 (4)창강 김택영 평전(한영규 저)' 2015년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선정과제 - 한말 사대가 평전 총서 <역사/지리/관광 분야> 5. '역사인식으로 읽는 고조선사-고조선을 둘러싼 한국 상고사 체계에 대한 인식의 시대적 변천과 그 역사적 의미(송호정 저)' 2019년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선정과제 - 고조선을 둘러싼 한국 상고사 체계에 대한 인식의 시대적 변천과 그 역사적 의미 6. '한국 근대관광의 탄생과 변용(조성운 저)' 2019년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선정과제 - 한국 근대관광의 탄생과 변용 현재 한국학진흥사업에서는 한국학대형기획총서, 한국학국영문사전편찬사업 등으로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 올해 세종도서는 총 180명(학술 71명, 교양 109명)의 추천위원을 구성, 분과별 사전 검토와 2차 추천위원회 심사를 거쳐 선정했다. 출판진흥원 관계자는 "세종도서 지원 사업으로 양서를 추천하고, 수요가 높은 도서에 대한 보급 확대와 지원 강화를 통해 국민의 독서문화 향상, 출판사 양서 출판 제작 의욕을 진작시키고자 했다"면서 "향후에도 관련분야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세종도서 운영위원회의 의견을 수렴해 지속적으로 사업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전문보기 출처 : 의협신문(http://www.doctorsnews.co.kr) -------------------------------------------------------------------------------------------------------- 또한 한국학중앙연구원 차원에서 ‘202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추천도서’와 ‘2024 한국대학출판협회 올해의 우수도서’ 에 선정된 도서를 함께 소개합니다. 전문보기 출처 : 새전북신문(http://sjbnews.com/)0096
- "한국 예술계: 기원·발전·쟁점...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도서 출간"In KSPS News·2025년 2월 6일최근 k-문화의 글로벌 성공 요인을 밝히려는 노력은 많지만, 체계적 근거가 아쉬운 경우가 많았다. 이 책은 예술에 대한 체계적 분석틀을 기반해서 비교 접근 방식으로 역사자료와 통계자료를 활용해 20세기 이후 한국 예술계의 발전 과정을 입체적으로 분석한다. 그렇기에 한국 문화예술이 왜 혹은 어떻게 현재의 성공을 거두었는가 보다는 현재의 성취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 배경과 사회적 조건, 그리고 쟁점을 다룬다... 전문보기 출처 : 교수신문(http://www.kyosu.net)001
- 2025 Korean Studies Promotion Program AnnouncementIn KSPS Notice·2025년 2월 6일We hereby announce the new project funding plan for the 2025 Korean Studies Promotion Program. February 4, 2025 Lee Ju-ho, Deputy Prime Minister and Minister of Education Kim Nak Nyeon, President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1. Program Information □ Program Objectives ◦ Establish infrastructure for overseas Korean Studies research and education through the support of global Korean Studies hubs. ◦ Create Korean Studies content that meets international demands based on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Studies research achievements. ◦ Enhance the capability of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Studies through the support for research, translation, and dictionary compilation and publication. ◦ Strengthen the foundation of Korean Studies through the collection of fundamental Korean Studies materials and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databases. □ Program Support Details (Budget Unit : KRW million) * The Laboratory Program grant is given once as a lump sum in the first year of the three-year project period. ** Grand Series of Korean Studies Program will select authors for a total of 15 volumes (3 major themes; approximately 5 volumes per theme). The grant per book is 60 million KRW and the manuscript should be completed in two years. ※ The above table lists the maximum possible budget for each project. For more details about each program, please refer to the Application Guidelines. 2. Restrictions on Applications and Participation • An individual may participate simultaneously in three or fewer projects suppor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research grants. However, an individual may serve as project director for only two projects. (In the case of participation in more than one project, overlapping payment of labor expenses is strictly prohibited.) o However, the following are not to be counted: 1) projects which end within six months from the application deadline, and 2) certain specially designated projects (as listed in the Korean Application Guidelines). • Individuals who are under research sanctions as of the application deadline may be restricted from applying. ※ For details regarding restrictions on application and participation, please refer to the Application Guidelines. 3. Application Methods and Documents to be Submitted • Application Methodo Online via the KSPS Project Management System (http://ksps-pms.aks.ac.kr) • Documents to Be Submittedo One copy of project proposal, etc.o For details of the project proposal and other documents to be submitted, please refer to the Application Guidelines for each program. 4. Application Period and Contact Information006
- 2025년도 한국학진흥사업 공고In KSPS Notice·2025년 2월 4일2025년도 한국학진흥사업 선정지원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25년 2월 4일 교육부장관 이주호 한국학중앙연구원장 김낙년 1. 사업개요 □ 사업목적 ◦ 글로벌 한국학 거점 지원을 통한 해외 한국학 연구·교육 인프라 구축 ◦ 국내외 한국학 성과를 기반으로 해외 수요에 부합하는 한국학 컨텐츠 제작 ◦ 연구·번역·사전편찬‧총서 발간 지원을 통한 국내외 한국학 연구역량 제고 ◦ 한국학 기초자료 수집과 DB 구축을 통한 한국학 연구기반 강화 □ 세부 사업별 지원내용 ※ 자세한 내용은 별첨 사업별 신청요강 참조 (단위 : 백만원) * 한국학세계화랩사업의 연구비는 1회 지급하며, 연구기간은 3년임 **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은 3개 분야(과제)별 5권 내외, 총 15권의 저서 집필자를 선정함.(저서 한 권당 연구비는 6천만원이며, 집필 기간은 2년임) ※ 과제별 지원규모는 상한액 규모이며, 지원대상 등 세부내용은 사업별 신청요강 참조 2. 신청 및 참여 제한 □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에 연구자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과제는 3개 이내로 하며,* 그 중 연구책임자로 수행할 수 있는 과제는 2과제로 제한함. (인건비 중복 수혜 불가) * 단, 현재 수행 중인 과제가 ①신규과제 온라인 신청 마감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종료되는 경우 또는 ②각 사업별로 과제 수 산정 시 예외로 인정하는 과제인 경우 신청 및 참여 제한 과제 수에 미포함. □ 온라인 신청 마감일 현재 학술연구지원사업 등에서 각종 참여제한 조치 기간 중에 있는 자 ※ 기타 신청 및 참여 제한 관련 세부 내용은 사업별 신청요강 참조 3. 신청방법 및 제출서류 □ 신청방법 ◦ 한국학과제관리시스템 홈페이지(http://ksps-pms.aks.ac.kr)을 통한 온라인 신청 □ 제출서류 ◦ 연구계획서 1부 등 ※ 연구계획서 양식 및 작성요령, 기타 제출 서류는 세부 사업별 신청요강 참조 4. 신청 기간 및 문의처00167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