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한국학 클럽 코너에서는 스페인 살라망카대학 Alvaro Trigo Maldonado 교수를 만나보았습니다.

Q1. 안녕하세요 교수님,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 소식지 독자들에게 교수님의 소개를 간략히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스페인 살라망카 대학에서 언어학과 동아시아학 석사를 졸업한 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역사와 문화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알 바로 트 리고 말도나도(Alvaro Trigo Maldonado)입니다. 졸업 후에는 한국문학번역원에서 2년 동안 한국어-스페인어 번역을 공부했고, 다시 스페인 고향으로 돌아와 채만식 문학에 대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저는 스페인 살라망카 대학에서 교직 및 연구생활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제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졸업생으로서 온라인 소식지에 인터뷰 기사 내용을 담게 되어 영광입니다.
Q2. 현재 교수님은 한국 문학을 스페인어로 번역하는 왕성한 활동을 많이 하시는데요. 특별히 한국 문학 번역을 하게 되신 특별한 계기가 있으신가요? 또 최근에 번역한 것 중 기억에 남는 작업은 무엇인가요?
우선, 제가 한국 문학 번역을 시작하게 된 데에는 많은 계기가 있었습니다. 그 중에 하나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를 졸업한 후, 한국 문학에 대한 이해력을 좀 더 높이기 위해 2년동안 한국문학번역원 정규 과정에 참여하며 다양한 작품을 접했었는데, 그러다보니 문학 작품을 반드시 한 개라도 번역하고 싶은 욕심과 열정이 생겼습니다. 또 다른 계기는 스페인에서 한국 문학이 아직 대중적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저는 한국 문화에 담긴 다양하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스페인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싶었습니다. 동시에 스페인에서는 한국어를 연습 할 기회가 많지 않다보니 번역을 통해 좀 더 배우고 도전하고 싶었던 이유도 있었습니다. 번역가로서 독자 후기를 읽고 한국과 스페인 문화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하는 데 기여하는 것은 매우 보람된 일이었습니다. 최근에는 <바깥은 여름>이라는 김애란 작가님의 작품을 번역했습니다. 작가님께서 세월호 참사 후에 쓰신 작품이라서 슬픔과 절망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인데요, 우리 시대의 사람들에게 인생의 교훈과 의미가 굉장히 깊게 녹아들어있어 번역 과정이 아주 뜻깊었습니다.
Q3. 2013년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어와 한국 역사를 전공하셨다고 하셨는데요. 교수님에게 대학원 시절의 학창 생활과 전공 공부, 그리고 한국에서의 생활이 교수님 인생에서 어떤 의미일까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생활하며 학창생활을 보낸 그 시간은 제 인생에서 매우 소중하고 중요한 시간이라 생각합니다. 어쩌면 제게는 중요하다는 의미를 넘어서 매우 특별했다고 표현하는게 맞겠네요. 우선 한국학대학원의 캠퍼스는 서울에서 조금 떨어져 있기 때문에 당시 학생들끼리의 공동체 의식이 타 대학보다 강했고, 또 학생들끼리 서로 도우며 지내는 분위기가 있는 특별한 곳이었습니다. 성남시 운중동에서 대학원 친구들과 점심과 커피를 마시며 토론하기도 하고, 또 함께 어울려 여러 곳을 다니며 좋은 시간을 보냈던 기억이 납니다. 특히 한국 친구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가에서 한국학을 공부하러 온 친구들이 많았기에 한국에 대한 연구와 관련 전공 지식을 공통 분모로 삼아 서로 강한 동기 부여를 해주며, 한국학에 대해 다양한 시각과 견해를 심도있게 나눌 수 있어 더욱 흥미로웠습니다.